운전 중 예상치 못한 화재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위험입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초기 진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법적으로 의무 비치 대상 차량도 있습니다. 차량 화재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해 차량용 소화기에 대한 모든 것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차량용 소화기의 중요성: 안전을 지키는 필수품
차량 화재는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하며, 순식간에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차량에는 연료, 오일, 전기 배선 등 다양한 인화성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특히, 최근 보급이 늘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화재는 일반적인 화재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이러한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을 가능하게 하여, 인명 피해를 줄이고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의무 비치 대상: 내 차는 해당될까?
모든 차량에 차량용 소화기 비치가 의무는 아닙니다. 하지만 특정 차량은 법적으로 소화기 비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 소유자는 자신의 차량이 의무 비치 대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현행 법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차량은 차량용 소화기를 반드시 비치해야 합니다.
- 승차 정원 5인 이상인 승용차, 승합차
- 화물차 및 특수차
- 전세버스, 노선버스, 관광버스 등 대중교통 차량
- 학원 차량 및 어린이 통학 차량
- 위험물 운반 차량
의무 차량 적용 기준
2024년 12월 1일 이후 제작, 수입, 판매되는 자동차와 소유권이 이전되어 등록된 자동차부터 적용됩니다. 2024년 12월 1일 이전 구매 및 등록된 차량은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
차량용 소화기 종류 및 선택: 어떤 소화기를 골라야 할까?
차량 화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소화기도 다릅니다. 따라서 차량용 소화기를 선택할 때는 화재의 종류와 소화기의 성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화기 능력 단위
소화기의 능력 단위는 소화기의 소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능력 단위가 높을수록 더 큰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별 설치해야 하는 소화기 규격은 이 능력 단위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량용 소화기 기준
차량용 소화기는 일반 소화기와 달리 차량 화재의 특성에 맞게 설계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반드시 본체 용기 표면에 “자동차겸용”이라는 표시가 되어있는 소화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현재 자동차용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0.7Kg, 1.5Kg, 3.3Kg)만 생산되고 있으며, 일반 분말 소화기나 에어로졸식 소화용구는 법정 차량용 소화기가 아닙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진동 시험, 고온 시험 등을 거쳐 내용물이 새거나 금이 가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설치 위치 및 방법: 어디에 어떻게 설치해야 할까?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운전 중이나 사고 발생 시 빠르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올바른 설치 위치와 보관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차량 종류별 소화기 규격 및 설치 위치입니다.
차량 종류 | 규격 | 소화기 규격 및 수량 | 설치(비치) 위치 |
---|---|---|---|
승용자동차 | 5인승 이상 | 1단위(0.7kg) 1개 | 사용하기 쉬운 곳 |
승합자동차 | 경형(1000cc 미만) | 1단위(0.7kg) 1개 | 사용하기 쉬운 곳 |
소형(15인승 이하) | 2단위(1.5㎏) 1개 or 1단위(0.7kg) 2개 | 11인승 이상 운전석 또는 운전석과 옆으로 나란한 좌석 주위 | |
중형(16인~35인승) | 2단위(1.5㎏) 2개 | 23인승 초과(너비 2.3m 초과) 운전자 좌석 부근 60㎝X20㎝ 이상의 공간 확보 | |
대형(36인승 이상) | 3단위(3.3㎏) 1개 + 2단위(1.5㎏) 1개 | ||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 중형(1톤 초과~5톤 미만) | 1단위(0.7kg) 1개 | 사용하기 쉬운 곳 |
대형(5톤 이상) | 2단위(1.5㎏) 1개 or 1단위(0.7kg) 2개 | 사용하기 쉬운 곳 |
차량용 소화기 관리 방법: 안전하게 오래 사용하려면?
차량용 소화기는 정기적인 관리를 통해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음은 차량용 소화기 관리 방법입니다.
- 소화기 사용 기한(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 분말 소화기의 경우 정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내용물이 굳는 것을 방지합니다.
- 직사광선 및 고온 다습한 환경을 피합니다.
- 사용 후에는 반드시 새 제품으로 교체합니다.
전기차 소화기 의무: 전기차는 어떤 소화기를 사용해야 할까?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과 화재 발생 원인이 다르지만, 전기차도 차량용 소화기 의무 설치 대상 차량에 포함됩니다. 승차 정원이 5인 이상인 전기차나 화물용 전기차도 일반 차량과 동일하게 소화기 비치가 의무입니다.
전기차 화재의 특징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인 화재보다 진압이 어렵고 재발화의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 순식간에 확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에는 일반 분말 소화기보다 전기차 화재에 특화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차량용 소화기 구매 시 인증을 확인해야 하나요?
네. 반드시 소화기 표면에 자동차 겸용 문구 표시가 되어 있는 제품을 구매해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3~5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 후에는 반드시 새 제품으로 바꿔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미비치 시 과태료가 부과되나요?
의무 차량(승차인원 5인 이상 차량 등)이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참고 하면 좋은 글